반응형
구글에서 검색해본 결과, 피벗테이블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피벗(Pivot) 테이블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에서 필요한 자료만을 뽑아 새롭게 표를 작성해 주는 기능
![](https://blog.kakaocdn.net/dn/kCSlM/btsAvVXE8BF/ViM9ZifCXKKrvfIVbYGYH0/img.png)
다음과 같이 일반표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64Cz4/btsAvYUobBq/wDYZShNTFra7Z06BaIggYk/img.png)
다음과 같이 피벗테이블을 만들게 되면
![](https://blog.kakaocdn.net/dn/eGdF8N/btsAvjdmFC7/F6qcxf1lpbSTKCxr9bdEN0/img.png)
이렇게 피벗테이블 보고서 설정창이 나오는데
![](https://blog.kakaocdn.net/dn/dQtRzY/btsAyTklkEi/X2qcyEVxeNcyIfb5CAp1J0/img.png)
위의 부분에서 아래 부분으로 드래그하면 된다.
※ 맨 아래 업데이트 버튼이 있다. 이건 언제 쓰이냐면 레이아웃을 업데이트할 때 필요하다.
원본의 데이터를 고쳤을 경우, 피벗의 데이터를 갱신하려면??
![](https://blog.kakaocdn.net/dn/BJpjh/btsAvrWXxzz/hs03pmnaBG5bLGj274kOV1/img.png)
원본 보고서에서 데이터를 고쳤을 경우
![](https://blog.kakaocdn.net/dn/AiVmU/btsAxJ3RqYA/6GuVj0lbY9Kj8KxEaRWnKk/img.png)
바로 반영(갱신)되는게 아니다. 이를 반영하려면
1) ALT+F5를 누르거나
2) 분석=>새로고침을 누르면
![](https://blog.kakaocdn.net/dn/1tEqj/btsAxYNePCp/j9xzEN19izOCkKKF7OOUpk/img.png)
다음과 같이 갱신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dsU63Z/btsAzTxvzjx/ADNyvlxkko19QkmzduiQCK/img.png)
* 피벗 테이블 보고서를 작성한 후 원본 데이터를 수정하면 피벗 테이블 보고서에 자동으로 반영된다.
=> 위에서 언급했듯이, ALT+F5나 분석=>새로고침 기능을 사용해야한다.
* [피벗 테이블 필드 목록]에서 보고서에 추가할 필드 선택 시 데이터 형식이 텍스트이거나 논리값인 필드를 선택하여 '행 레이블' 영역에 추가한다.
* 값 영역에 추가된 필드가 2개 이상이면 Σ 값 필드가 열 레이블 또는 행 레이블 영역에 추가된다.
* 열 레이블/행 레이블 단추를 클릭하여 레이블 필터나 값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반응형
'컴퓨터활용(컴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레드시트] 문자열 "찾기 및 바꾸기" (와일드카드) (2) | 2023.11.20 |
---|---|
[스프레드시트] 외부데이터 가져오기(웹 파싱) (1) | 2023.11.19 |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고급 검색 (와일드카드, 논리식, AND/OR 사용방법) (1) | 2023.11.19 |
[스프레드시트] 시나리오 관리자에 대하여 (시나리오 추가, 업데이트) (1) | 2023.11.19 |
[스프레드시트] 메크로 기록, 활용, 상대참조 (1) | 2023.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