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장 기본적인 문법인 print입니다.
매개변수를 출력하는 건데 간단한 예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print('Hello World')
a = 30
print(f'a의 값은 {a}')
(1행) print는 괄호 안의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라 금방이해될 것 같습니다.
(4행) 다만 a는 30이란 값을 갖는 변수를 출력할 때엔,
ㄱ) f'~~~'라는 것을 이용하고
ㄴ) 문자열 속 {}중괄호에 a변수를 입력하면 "아 출력할 때 a변수가 뭘 갖고있는지 출력하면 되겠구나 인지합니다.
실행화면은 다음과 같아요.
ㄱ) 빨간 네모 => python.exe가 위치한 경로에요. 이렇게 타이핑을 해야만 아까 제가 작성했던 python문장이 python문법에 맞춰 실행됩니다.
ㄴ) 노란 네모 => 이건 제가 작성했던 python문장의 위치에요. 이 위치를 정확히 입력해야 python 실행할 대상을 잘 찾을 수 있겠죠.
결과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hon기본 - 함수(클래스에선 메소드) - def (0) | 2021.08.30 |
---|---|
반복문1 - for (0) | 2021.08.30 |
반복문2 - while (0) | 2021.08.30 |
python 설치 (0) | 2021.08.27 |
(CybosPlusAPI) "서버에 접속되어 있지 않습니다." 해결방법 (0) | 2021.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