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1. 뷰노, AI 기반 안저 영상 판독 기술 미국 특허 등록 2. 큐렉소, 의료로봇사업 2분기 최대 매출 경신 外 (경제 뉴스들)

미스털이 사용자 2023. 8. 27. 17:21
반응형

뷰노, AI 기반 안저 영상 판독 기술 미국 특허 등록

<출처 : 메디컬타임즈,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54204 >

* 뷰노는 미국에서 의료진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안저 영상 판독 기술에 대한 특허 등록을 받았다.
* 이 기술은 국내와 일본에서 이미 특허로 등록되어 있으며, 안저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 안저 영상에서 중요한 위치를 자동으로 찾아내고 해당 위치에서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 이를 통해 안저 내 구획 분할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주요 소견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뷰노는 미국에서 연이은 미국 특허 등록을 획득하여 의료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특허 선점을 이어가고 있으며, 뷰노메드 펀더스 AI 제품을 강화하여 영업 및 마케팅을 계획하고 있다.

 

뷰노, 2분기 매출 385% 폭증…''딥카스' 비급여 효과'
<출처 :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9TFGMMLU2 >

* 뷰노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한 30억 원을 기록.
* 영업손실은 5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확대되었지만,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약 34억 원 수준의 영업손실.
* 뷰노메드 딥카스 제품으로 2분기 매출은 약 19억 원으로 직전 1분기 대비 약 60% 증가.
* 딥카스는 국내 의료 현장에서 빠르게 도입되어 현재 60개 이상 병원에 도입되고 데모 활용 중.
* 딥카스는 FDA로부터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어 현지 의료기관과 임상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비용 집행으로 실적 개선의 흐름을 기대하고 있다.

 

"주가가 다가 아니다" 뷰노 이예하 대표, 성과급 포기

<출처 : 더벨,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8221715020640103956 >

* 이예하 대표가 10억원 성과급을 포기한 이유
 - 뷰노의 주가가 200% 상승하였으나 매출 부진으로 성과급 취소 결정.
* 뷰노의 성과급 결정과 취소
 - 1월 말 이사회에서 성과급 기준 마련.
 - 8월에 이 대표의 성과급 취소 결정.
 - 주가는 목표주가 설정 이후 200% 상승.
* 뷰노의 영업실적 부진
 - 상반기 영업수익 48억원으로 4배 증가, 영업적자와 순손실 감소.
 - 그러나 예상치에 미치지 못하며 앞으로의 실적도 어려움 예상.
* 이예하 대표의 생각
 - 성과급 포기는 회사의 빠른 성장을 위한 결정.
 - 개인보다 회사의 성장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

 

 

 

큐렉소, 의료로봇사업 2분기 최대 매출 경신

<출처 :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2905 >

* 큐렉소는 2분기에 197억 8000만원의 매출과 11억 4800만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연속적인 매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의료로봇사업이 전체 매출 중 50%를 차지하여 큰 성장을 이루어냈다.
* 2분기 의료로봇사업은 97억 4400만원의 매출로 전분기 대비 15.5% 및 전년동기 대비 173.1% 급증하였으며, 이는 국내와 인도 시장에서 의료로봇 판매가 계속 증가한 결과이다.
* 큐렉소는 미국과 일본 시장에 이어 중국 시장으로 진출을 계획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로보틱스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큐렉소, AI 훈풍 타고 시총 1조 넘어 주가 '싱글벙글'

<출처 : 핀포인트 뉴스,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732 >

* 의료로봇 개발 업체 큐렉소의 주가가 상승하며 시가총액 1조원을 돌파하였다.
* 큐렉소는 '큐비스 조인트(Cuvis-Joint)' 인공관절 수술 로봇의 해외 판매로 인한 실적 개선으로 2분기에 매출 197억원, 영업이익 11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작년 동기 대비로는 매출이 29.2%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하였다.
* 회사는 인도를 비롯한 글로벌 37개국에서 의료용 로봇을 공급 출시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실적 상승이 예상되고 있다.


'애물단지' 큐렉소, 혹독한 생존기

<출처 : 톱데일리, https://www.topdaily.kr/articles/94629

* 큐렉소는 윤호중 회장이 주도한 의료로봇 사업으로 10년 넘게 적자를 기록했으며, 이로 인해 hy그룹에 재무 부담을 안겼다.
* hy그룹은 2011년 큐렉소를 인수하여 의료로봇 사업에 투자하였으나, 수익을 내지 못하고 무역 사업에 의존해왔다.
* 현재 큐렉소는 의료로봇 부문에서 성장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매출과 영업이익이 상승하며 적자에서 벗어나고 있다.
* 큐렉소의 의료로봇 사업은 인도 등 지역에서 수요가 높아지면서 성장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매출 성장을 유지하고자 계획 중이다.
* hy그룹은 큐렉소의 지분을 점차 손을 떼고 있으며, 큐렉소는 추가 지분 희석을 막기 위해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안성현 디알텍 대표 "500억 이익낼 제품 최소 4개…고도성장 시작"

<출처 : 머니투데이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82109471631792 >

* 디알텍, 독자적이고 차별화된 디텍터 기술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음.
* 치과용 고성능 동영상 디텍터로 글로벌 치과 시장에서 500억원 이상 이익을 기대하며 선두 경쟁자로 부상.
* 커브드 디텍터 개발로 산업용 제품 분야에 진출하며 국내외 다양한 산업에서의 활용을 모색 중.
* 디알텍의 제품은 AI 기술과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세계 최초 제품을 다수 개발하고, 규제기관의 승인과 특허 등록을 완료함.
* 회사는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성장과 세계 시장 공략을 위해 글로벌 영업 및 마케팅을 강화하고 R&D를 고도화하는 등 다양한 준비를 진행 중.

 

 

 

디알텍, 전세계 치과 디텍터 시장 석권 눈앞…AI로 폭발적 성장 '예약'

<출처 : 아시아경제, https://www.asiae.co.kr/article/2023082309392616506 >

* 디알텍은 AI를 통한 저선량 고선도 기술로 국제 의료 및 산업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 디알텍의 주가는 급등하며, 아람코와 쉐브론, 두산에너빌리티 등 다양한 고객으로부터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X레이 시스템 시장은 크고, 디알텍은 AI를 활용하여 저선량 고화질 X레이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어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음.
* FDA 승인을 받은 C-arm 시스템은 주력 제품으로서 저선량 고화질 기술에 집중함.
* 디알텍은 의료용 디텍터 시장 외에도 산업용 디텍터를 중동 시장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인력 확보가 주요 리스크 요인 중 하나임.

 

 

디알텍, 디텍터부터 C-arm까지…연이은 美 FDA 시판 전 허가 '쾌거'

<출처 : 프라임경제,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610603

* 디알텍은 미국 FDA 시판 전 허가를 획득하여 저선량 디지털 C-arm 제품 '엑스트론 5'와 '엑스트론 7'을 성공적으로 출시함.
* C-arm은 의료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며, 디알텍의 기술은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고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둠.
* 엑스트론 제품은 IGZO TFT 기반의 평판형 디텍터를 사용하여 왜곡 없는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며, 저선량 기술로 방사선 피폭을 낮춤.
* 성능 평가에서 다른 장비 대비 낮은 선량과 우수한 이미지 품질을 입증하였으며, 내구성과 장비 수명도 높음.
* '엑스트론 7'은 두꺼운 피부막이나 혈관조형술을 수행하는 데 적합한 저선량 수술을 지원하는 부스트 기능을 제공함.

 

 

 

http://mrlee.co.kr/pc/view/ecopol/353? 

 

[미스털이] 1. 디알텍, 디텍터부터 C-arm까지…연이은 美 FDA 시판 전 허가 '쾌거' 2. "주가가 다가 아

 

mrl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