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중앙은행, 연준이 물가상승률 2%를 고집하는 이유와 금리 인상

미스털이 사용자 2023. 9. 3. 15:44
반응형

아래 글은 (https://v.daum.net/v/20230903133000694)기사를 요약한 것입니다.

 

적당한 물가 상승율은?

* 물가 상승률은 계속해서 경제 기사의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며, CPI 상승률이 낮아져도 경계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
* 중앙은행은 물가 상승세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국민의 부담을 늘릴 수 있으므로 적절한 물가 상승률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음.
* 최근에는 물가 상승률에 대한 정확한 기준과 관련된 논의가 진행 중이며, 어느 수준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이 있음.

 

중앙은행이 계속 기준금리를 인상

* 중앙은행은 경제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조정하며, 이는 '경기 부양'과 '물가 안정' 목표 사이의 균형을 맞춤.
* 미국 연준은 최근 1년 이상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물가 상승을 제어하고, 금리는 5.5%로서 22년 만에 최고 수준임.
* 현재 미국에서는 기준금리가 너무 높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으며, '소비와 투자 위축을 막기 위해 금리 인상을 멈춰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음.
* 미국과 다른 선진국들은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2%로 설정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이 목표치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음.
* 중앙은행은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정하는 이유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며, 일부 의견은 2%보다 높은 목표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나오고 있음.

 

중앙은행의 확고한 2% 물가상승률 목표

* 연준과 대부분의 선진국은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2%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방침을 가지고 있음.
* 최근에는 물가상승률 목표치 2%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나오고 있으며,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 주제임.
- 사람들이 물가에 대해 신경쓰지 않는 마지노선이 2%라는게 중앙은행의 (추상적인) 답변

 

왜 하필 2%일까?

* 중앙은행은 '물가 안정 목표제'를 통해 물가상승률을 조절하며, 이는 경제 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음.
* 뉴질랜드가 1980년대 후반에 세계 최초로 물가 안정 목표제를 도입하였고, 이후 다른 국가들도 2%의 목표치를 채택하여 중앙은행의 암묵적인 기준이 되었음.
* 한국은 1998년에 물가 안정 목표제를 도입했으며, 초기 목표치는 3±0.5%였으며 2016년에 2%로 수정됨.
* 미국 연준은 2012년에 2%의 물가 안정 목표를 도입하였으며, 2020년에 목표를 평균적으로 2%에 수렴하도록 조정함.
* 현재 몇몇 국가에서는 물가 목표치를 3%나 4%로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음.

 - 이는 고물가의 현실을 반영하고

 -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임.

 

매파 : 골이 안들어간다고 골대를 옮겨?

* 연준과 한국은행은 현재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변경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갖고 있음. 목표치는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어 온 것으로, 신뢰를 잃지 않도록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함.
* 목표치를 높이게 되면,

 - 물가 상승세가 가팔라질 가능성이 있으며,

 - 인건비 등 다양한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은 목표치를 현재의 2%에서 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물가상승률이 더디게 하락한다면 목표치 변경 대신 기존 목표를 더 엄격하게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함.
* 미국 잭슨홀 회의에서도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목표치를 바꾸지 않을 것임을 확인하며, 목표치 변경은 경제 정책 게임의 규칙을 바꾸는 것과 같다고 강조함.
*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며,

- 목표 변경(그래서 금리를 동결하거나 낮추자=비둘기파)

- 유지(목표 달성때까지 금리를 높이자= 매파) 

* 위처럼 양쪽의 주장이 존재하며 어떤 결론이 나올지는 두고봐야 한다.

 

 

http://mrlee.co.kr/pc/view/ecopol/362? 

 

[미스털이] "중앙은행, 연준"이 물가상승률 2%를 고집하는 이유와 금리 인상

아래 글은 (https://v.daum.net/v/20230903133000694)기사를 요약한 것입니다.적당한 물가 상승율은?* 물가 상승률은 계속해서 경제 기사의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며, CPI 상승률이 낮아져도 경계해

mrl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