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여러 정책을 펼쳐 경기침체를 극복해야 한다. (조영무 박사)

미스털이 사용자 2023. 9. 5. 15:38
반응형

<위의 영상을 요약해 만들었습니다.>

 

대략적인 국내, 해외 경제 흐름

* 작년에는 1.4% 성장률을 전망하며 경제 전망을 제시.
* 중국 부동산 불안에 대한 의문점이 있음.
* 1.4% 경제 성장률이 컨센서스로 수렴되고 있으나, 1.0~1.2% 예상.
* 정부의 재정 지출 중요성 강조하며 하반기에 재정 공백 우려 언급.
* 정부의 재정 정책은 재정 건전과 감세 중시하는 경향.
* 민간 경제 활동 부진 우려로 추경 필요성 강조.
* 해외 경제 전망에서 미국과 유럽의 침체 예상.
* 미국과 유럽의 침체가 과거와 다를 것으로 예상.
* 경제 성장률은 1.0~1.2%로 전망하며 현재의 컨센서스와 차이.

 

중국과 미국의 경제적 이슈

* 중국의 리오프닝으로 인한 경기 회복은 예상보다 더딤.

* 중국의 수출 부진과 소비가 제한적임을 고려해 우리나라 수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의 경기 침체가 예상되지만, 미국 가계의 초과 저축이 소진되기까지 시간이 흐른 후에 침체될 것.
* 미국과 한국의 고물가와 고금리 부담이 나타나며, 이러한 부담이 미국 금융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미국 고용 시장은 상당히 괜찮은 상태이며, 고용상황 좋은 침체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 글로벌 경기 침체가 예상될 수 있지만, 강도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중국 부동산 부채 불안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금융시장에서 어떤 이슈가 생기더라도, 경기 하반기에 더 나빠질 가능성이 있음.
* 미국 중소은행들의 대출 비중이 높은 상업용 부동산이 취약.
* 미국의 실업률은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으며, 고용 시장이 안 좋아져도 크게 악화되지 않을 것.
* 미국의 초과 저축과 한국의 고물가와 고금리 부담이 올해 하반기에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됨.

 

 

미국 금융건전성과 금리정책에 대한 논의 필요

* 최근의 공식 통계를 신뢰하지 못하며 미국 금융 건전성에 대한 불신.
* 미 연준은 미국의 금융기관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의문.
* 현재의 금리 인상은 공급 및 수요의 영향을 미치며, 중앙은행의 의도된 침체로 이어질 수 있음.
* 중앙은행은 과거엔 침체를 피하고자 하지만 현재는 다른 의도가 있다.
 - 현재의 경제 상황이 미 연준이 설정한 스트레스 테스트 시나리오와 일치하지 않음
 - 금리 인상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논의가 중요
* 중앙은행의 의사 결정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만 경제 전망에 대한 합리적인 접근이 필요

 

금융 전망과 물가 상승

* 미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
* 물가 상승 압력이 높으며, 에너지와 식품 가격의 변동이 영향을 미침.

* 코어 물가 상승률: 에너지와 식품 가격을 제외한 핵심 물가 상승률이 높아짐.

* 미 연준의 통화 정책 변화가 미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금리 인하는 내년 상반기에 시작될 것으로 예측

* 한국은행은 미국에 비해 금리를 인하하기 어려우며, 가계부채 부담도 존재
*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는 내년 중반으로 예상되며, 약 4~6월 사이에 이루어질 것으로 추측

* 한미 간 금리 차이가 200bp 이상 늘어날 수 있으며, 미국의 통화 정책 변화에 따라 조절될 것

* 미국의 금리 인하에 따라 한국은행도 금리를 낮출 가능성

- 이는 가계와 기업에 영향을 미칠 것

 

 

적극적인 정책 시도가 필요

*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은 아직 공식 발표는 아니지만 1.8% 정도로 예상됨.
* 경제 성장률 예측에는 해석 차이가 있어 논란이 예상됨.
* 잠재성장률은 경제 성장 가능한 수준으로, 대다수의 전망은 2% 전후로 예상.
* 경제 성장률 예측은 정부 정책에 영향을 미침.
* 세금 수입 부진과 세수 계획 중요성 증대.
* 재정 건전성 유지 필요성 강조.
* 미시 정책 강화와 경제 성장 촉진 필요.
* 경직된 예산 구조로 여지 제한.
* 여러 정책 시도의 노력이 쌓이면 결과 양호해질 것.
* 경기 침체에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

 

 

http://mrlee.co.kr/pc/view/ecopol/364? 

 

[미스털이] 정책적 노력과 시도를 통해 경기침체 극복해야 (조영무 박사님)

<위의 영상을 요약해 만들었습니다.> 대략적인 국내, 해외 경제 흐름* 작년에는 1.4% 성장률을 전망하며 경제 전망을 제시.* 중국 부동산 불안에 대한 의문점이 있음.* 1.4% 경제 성장률이 컨센서

mrl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