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치,경제,사회 208

전환사채와 전환청구권행사

제가 요즘 주식에 대해 공부하는 중인데, 공시정보에 나오는 항목을 보다가 전환사채를 보게됐습니다. 사채라는 단어가 계속 마음에 걸려 이것저것 검색했습니다. 전환사채는 제 예상대로 "사채"입니다. 그런데 실체를 자세히 보면 기존 우리가 알던 사채와 다릅니다. 주식을 발행해 돈을 굴리는 주식회사의 특수성에 맞게 만들어졌어요. 우선 이 전환사채는 은행이 아닌 투자자들로부터 사채 명목으로 돈을 빌립니다. 이때 이 투자자들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개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지만 대게의 경우 특정세력이나 기관으로 부터 빌리게됩니다. 근데, 궁금한 점이 있어요. 회사도 안정적으로 은행으로부터 적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는데 왜 전환사채를 발행할까요? 은행은 앞서 언급한 장점(적은금리, 안정적)이 있지만 빌리기 앞서 ..

국제적 이슈(헝다, 미국채권증액 갈등)에 증시 영향은? (이번주 미국PCE, 한국9월수출 발표예정)

* 국제 이슈로 인해 불확실성은 계속 - 헝다그룹의 파산 우려 => 투자심리 악화 => 29일 채권이자 지급이 불투명 => 전문가 왈, "단기 도래 이자 규모가 비교적 작고 국책은행이 주채권자다. 시스템 리스크로 퍼져나갈 가능성은 미미" - 미국 정치권의 불확실성 역시 지켜봐야 => 부채한도 증액하고 3조5천억 달러 인프라 투자 통과 난항 => 전문가 왈, "이 이슈가 대형악재로 불거질 가능성 희박" (참고 : 지난주엔 외국인들이 6596억 순매수) * 이번주 주목해야할 경제지표 - 미국 PCE(개인 소비 지출) => 예상 : 4.2% 전월과 비슷 - 한국 9월 수출 발표 - 호조 예상

헝다그룹 위기에 중국, "재무구조 파악하고, 위기대응에 각 지방정부, 기업들에게 당부"

* 중국 정부, 중국의 "지방자치단체에 헝다 파산 위기 대비하라" 지시 - 월스트리트저널, "중국정부는 헝다 구제할 의지 없어" - 헝다그룹이 서툴게 처리하게되면 막판에 중국정부가 개입할 가능성도 - 중국정부는 헝다의 재무구조 살펴보기 시작 - 중국정부는 각 지방자치단체와 사기업들 불러 "수틀리면 각종 부동산 프로젝트 매수해" 지시 - 헝다 파산이 불러올 사회적 파장을 예측하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중국 당국내에 법무팀 꾸려 (2021-09-24 미국) * 다우산업: 34,764.82 (+1.48%) * 나스닥종합: 15,052.24 (+1.04%) * S&P500: 4,448.98 (+1.21%)

미국 1조2천억 달러 지원소식에도.. 제조업 지표 하락, 테이퍼링 가능성

* 뉴욕증권거래소 - 다우지수 0.28% 하락, S&P 0.18% 하락, 나스닥지수 0.06% 상승 - 초반엔 1조2천억 달러 인프라 지원 소식에 상승 => 미 상원, 도로, 교량, 광대역, 철로 등 전반적 인프라 투자에 1조! => 추가로 전기 충전소, 납 수도관에 5500억 달러 지원! => 이 사안에 대해서 8월 내에 합의보기로 다짐! - 후반엔 제조업 지표 발표와 긴축 걱정때문에 하락 => 델타변이에 따른 재확산 (최근에 1일 신규 확진자 10만명 돌파하기도) => 제조업 지표가 올해 3월에 정점을 찍고 7월까지 지속적 하락세 => 2분기 GDP 성장률 역시 예상보다 밑도는 모습에 걱정 * 연방준비제도 "월러" 이사 - 8월,9월 고용이 80만명 넘기면 테이퍼링 발표할 수 있어 - 8월, 9월 고..

한국판 보톡스 "나보타"가 나타났다! 미국, 중국 매출 급등 기대!

* 한국의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수출액이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 - 작년 대비 33.7% 증가 - 약진의 핵심시장 : 미국! (전년 대비 71% 급증) =>대웅제약의 보툴리눔톡신 제제 "나보타"! =>FDA승인 받은게 국내 유일 =>ITC 소송까지 마무리=>수출 급증할 듯! - 그외에 비중은 작지만 폭증한 시장 : 브라질 (92% 급증), 태국(103% 폭증) - 하지만 중국시장은 다소 위축(-6%, 그럼에도 수출 규모는 압도적 1위) => 내년에는 다시 반등 예상 => 위에 언급한 "나보타"가 중국 임상3상에서 "미간주름 개선"효과 입증 => 폭발적 성장 잠재력을 갖춘 중국시장에 엄청난 기대! => 골드만삭스는 전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보톡스 시장 확대될 나라로 "중국"지목 (2021-08-02) * ..

보복소비가 뭐지? (보복소비때문에 카드사 순이익 40% 껑충)

* 5개 카드사(신한, 삼성, KB, 우리, 하나)의 상반기 순이익이 작년에 비해 40% 폭증 - 코로나 19 보복소비에 따른 비용관리가 큰 역할 * 자세히 들여다보면 - 삼성카드 순이익 26.7% 증가 - 업계1위 신한카드 3672억 순이익(21.4% 증가), 특히 리스에서 45.1% 증가 - KB카드 54.3% 증가, 할부금융/리스에서 60.7% 증가 - 우리카드는 51.3%, 하나카드도 117.8% 순이익 증가 * 보복소비(revenge spending) - 원래 의미 : 배우자에게 과소비로 보복하려고 사치품 사들이는 것 - 현재 코로나시국 :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가 코로나19로 진정기미가 보이자 코로나19에 보복하듯 와장창 소비행태가 분출 - 실제로 중국의 우한 지역에서 코로나19 봉쇄를 해..

미국 경제.. 2분기 GDP 예상보다 밑돌아, 하지만 뉴욕증시 상승

* 미국 2분기 GDP 예상치보다 못해 - 하지만 뉴욕증시는 상승세 - 미국 국채가격은 테이퍼링 시기를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았음에도 "조만간 시작되겠지" 걱정 속 혼돈 - 달러는 한 달여만에 최저 => 위험선호 현상의 귀한 - 뉴욕 유가는 원유재고가 줄고있다는 것에 오름세 * 이게 다~~~ 델타변이 때문? - 최근 델타변이에 따른 코로나19 재유행 - 월가에선 마스크 착용을 하기 시작 - 가을 개학하는 학교서도 마스크 착용 권고 - 한편, 1조2천억 달러의 미국의 통큰 인프라 지원이 결국 통!과! (2021-07-30) * 코스피 - 3,202.32 (-1.24%) - 개인 +12,590억, 외국인 -7,104억, 기관 -5,768억 * 코스닥 - 1,031.14 (-1.24%) - 개인 +2,585억,..

MLCC, 반도체패키지기판의 꾸준한 수요.. 삼성전기 어닝서프라이즈

* 삼성전기, 전년동기대비 3배이상의 영업이익 기록 -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치)를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 - MLCC(적층세라믹캐피시터) 꾸준한 수요 때문이라는 분석 (MLCC 뿐 아니라 반도체 패키지기판 등 고부가 제품의 판매가 많아짐) * 지난해말 부터 공급능력 확충했지만.. - IT용 고용량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공급일정이 타이트한 상태가 지속될 것 - 즉 "없어서 못 팔아요" 상태가 지속될 것

중국의 계속되는 내부규제, 부동산까지

* 중국 정부가 IT기업, 사교육 업계, 부동산 시장에 대해 강력 규제 * 27일 블룸버그통신 - 중국이 주택가격 상승 문제를 손보기 시작했다! - 1) 모기지 대출 이율 인상 - 2) 임대 주택 개발 활성화 - 3) 부동산 개발사들 자금 조달, 분양가 책정 전면 조사 - 도대체 왜? - 주택가격 상승→출산률 하락을 막기 위해 * 한정 중국부총리 왈 - 주택은 투기의 대상이 아니라 살라고 만든 것 - 부동산을 단기적 경기부양 수단으로 절대 만들지 않을 것! (이는, 이제까지 기존의 중국 정책기조와 다른 발언) * 중국 부동산 강력규제의 영향은? -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주가 폭!락! - (이틀간) 헝다그룹 20%하락, 차이나반케 14%하락 - 전문가 왈, "중국 경제에서 부동산 비중이 13%=>금융시장에..

뉴욕증시 5일만에 하락, FOMC테이퍼링 발언은?

* 뉴욕증시가 5일만에 하락 - 대형 기술 기업들의 실적발표를 앞둔 상태였음에도 불구 - 원인1) 코로나19 델타 변이에 대한 우려 - 원인2) (7월 27일 미국 3대 지수) 최고치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쏟아진 탓 - 원인3) 중국증시 하락에 따른 위험회피 차원 * FAANG - 넷플릭스 제외하고 모두 하락 - 애플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6%급증, 하지만 실리콘 관련 공급제약을 겪는다는 악재 - 알파벳 2분기 매출 작년 동기에 비해 61.6%급증 - 구글 광고수익 작년에 비해 69% 폭증 (29일 실적 발표 : 아마존, 페이스북) * FOMC 정례회의 27~28일 - 테이퍼링(자산 매입 프로그램 축소)에 대한 발언 주목돼 - 도이체방크 왈 "결정이 임박했다는 신호만 보낼 뿐 구체적 계획 발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