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중국의 경제 상황과 잭슨홀 미팅

미스털이 사용자 2023. 8. 29. 19:07
반응형

<※ 위 영상을 보고 요약했습니다.>

 

중국 경제? 위기와 침체는 다르다.

위기는 특정 부분에 이상이 생겨 비정상적인 상황에 치닫는 것

반면 침체는 점점 둔화되는 것

컨트리가든(비구이위안)같은 상황은 침체로 예상이 된다. 중국 경제 시스템에 위기가 올 것 같진 않다.

 

중국에 외환위기가 닥칠까?

중국이 외환위기, 금융위기로 될 가능성이 낮은데, 가장 큰 이유는 중국은 자본 유출을 막고있는 폐쇄성

ex) QDII(중국 내에 있는 해외투자 펀드) 제한 => 해외로 나가는 돈 아예 막아버림.

=> 이런 폐쇄성 때문에 자본유입은 더욱 불투명해질 것 (들어가면 나가지 못하니까)

 

 

중국의 환율 방어

2015년즘 중국에서 환율방어하려고 중앙은행에서 약 1조달러를 매각함 

=> 근데 이것때문에 중국경제에 위기가 닥쳤다며 대내외적으로 안좋았음.

그래서 2015년 이후, 3조~3조2천억 사이 왔다갔다 하는 외환보유액

무역으로 얻은 흑자를 외환보유고에 쌓지 않고 국영은행들한테 뿌림.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면 환율 방어하기 위해 달러를 매도 쳐줘야하는데

=> 중앙은행대신 국영은행들이 달러매각함

 

위안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기 어려운 이유

평소 위안화가 약화될 거 같은 기운이 보이면

=> 헤지펀드들이 홍콩에가서 위안화 공매도를 침

이를 막기위해 중국에서 위안화 표시 채권을 발행해서 시중에 있는 위안화를 빨아들임
=> 위안화 공급이 줄면서 위안화 금리가 뛰면 위안화 가치가 올라감

 

중국의 위안화 환율 관리와 현 상황

장기 금리는 동결했는데, 단기금리는 10bp 인하한 중국

참고로, 중국이 (초초초단기) 7일짜리 역RP(7일채)로 위안화를 풀어 환율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켜옴
중국이 부동산 시장의 충격을 은행들이 흡수하도록 만들려고 함.

이렇듯, 중국은 현재 위안화 환율이라든지 외환위기를 막을 수 있는 여력을 보유
애초 중국은 부동산 사용권을 매각을 한 다음에 거기서 나오는 돈을 생산에다 계속 퍼부으려는 생각
근데 부동산이 막혀 있으면 투자가 제대로 못 이뤄져

미국에 의해 기술 제재까지 받고 있는 마당에, 중국 입장에서는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없어짐.

=> 결국 중국의 성장률 둔화가 이어질 것
=> 중국의 경제 펀더멘탈 자체가 약해짐.

 

파월의 발언 (잭슨홀) Keep at it

작년엔 파월이 짧고 강하게 발언하며 강력한 긴축을 예고했었음. (마지막엔 Keep at it이란 말로 마무리)

그에 비해 올핸 길게 말하고 노동력이 늘어났다는 둥 이런저런 중립적으로 얘길함 (비둘기 예상)

=> 하지만 마지막엔 작년과 같이 Keep at it으로 마무리 (매 돌변)

과연 잭슨홀미팅 후 시장의 반응은?

=> 주가 ↑  장기금리 ↓ 단기금리 ↑

=> 단기금리 ↑ 반응에 대한 해석 => 금리 올려볼테면 올려봐라. 금리가 그만큼 내려갈거니까

=> 금리가 올라갔다 내려간 차이만큼 그건 선물로 다가올테니까

=> 단기 금리를 끌어올린 것, 장기 금리 내린 것을 보면서 시장이 안도의 한숨을 쉼

연준의 금리 인하

 

내년에 금리 인하를 하는 게 6월 정도는 돼야 시작될 것

내년 말에는 금리를 4.25에서 4.5까지 내릴 것 같음
통화정책에서는 연준이 추가 긴축에 대한 가능성을 시장이 받아들이고 있음

 

잭슨홀의 큰 이슈 3가지

<쪽집게 도사 "블라드">

1) 2% 인플레이션 목표

=> 요청 : 바꿔야 한다. 지금도 3% 밑으로 내려오는게 쉽지않다. 2% 목표에 다가가려다가 성장 망친다.

=> 대답 : 안돼! 그러다 목표가 맨날 바뀌면 목표의 의미가 없어져!

2) 중립금리

=> 5.25~5.5% 현 금리가 높은 금리 아니야?

=> 매파 : 높은금리 아냐. 이 금리 상태에서 성장도 좋고, 물가도 오르잖아.

=> 비둘기파 : 성장 좋고 물가가 오른다는 건 길게 봐야해. 아직 그렇다고 단정짓기 이르지.

=> 파월 : 시장에서 기대하는 중립금리보단 높아. 근데 추세이상의 성장이 이어지면 그땐 금리를 높여야겠지.

=> 블라드(쪽집게로 유명함) : 추가 인상할거고 금리 6%까지 갈거임.

=> 결국 매와 비둘기 간 협의되는 중립금리에 따라 나중에 금리 인하 폭도 상당히 영향받을 듯

(만약 중립금리가 높다면 내려가는 폭도 줄어들 것)

3) 기대 인플레이션의 고착화

 

 

http://mrlee.co.kr/pc/view/ecopol/356? 

 

[미스털이] 중국 위안화와 경제 전망과 잭슨홀 미팅에서 큰 이슈 3가지

<※ 위 영상을 보고 요약했습니다.>중국 경제? 위기와 침체는 다르다.위기는 특정 부분에 이상이 생겨 비정상적인 상황에 치닫는 것반면 침체는 점점 둔화되는 것컨트리가든(비구이위안)같은

mrl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