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트위터 단점(일론머스크, 단문소통)을 없애려 스레드가 나타났다. 인포뱅크, 와이즈버즈, 플레이디, 인크로스 특징주로 꼽혀

미스털이 사용자 2023. 7. 10. 11:29
반응형

스레드, 출시 나흘 만에 가입자 1억 명…트위터 뛰어넘을까

<출처 : 한국경제, https://v.daum.net/v/20230710085303693 >

* 지난 5일 출시 후 나흘 만에 1억명
* 생성형AI 열풍 몰고온 챗GPT도 2개월 걸려
* '가입자 16억' 인스타와 연동해 빠르게 사용자 확보(소셜로그인)
* 2억3000만 트위터 뛰어넘을 지 관심

 

 

 

"트위터 엉망진창"…美 정치인들 메타 SNS '스레드'로 우르르

<출처 : 한국경제, https://v.daum.net/v/20230707155911361 >

* 연방의원 25%이상 가입
* 공화당 대선주자·주지사들도

 

 

 

스레드, 인스타 계정 있으면 바로 로그인… 기준강화에도 거짓정보-음모론 글 올라와

<출처 : 동아일보, https://v.daum.net/v/20230710030057768 >

* [저커버그 vs 머스크 ‘빅테크 전쟁’]
* 무료 올리기 글자수, 트위터의 2배
* 대권주자 등 美정치인 잇달아 가입

 

 

 

 

[특징주] 인포뱅크, 美 메타 스레드 1억명… 'AI 챗봇' 연동 부각 '강세'

<출처 : 아이뉴스24, https://v.daum.net/v/20230710092225728 >

* 인포뱅크와 메타의 사업 연결고리 부각

* 서비스 출시 9일여만에 9700만명 스레드 새 계정 생성

* 스레드, 앞으로 광고/서비스와 연결된 기업들의 수혜 기대

* 인포뱅크

 - 기업형 대량발송메시지

 - 국내외 메신저(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과 챗봇/보이스챗봇을 연동한 메시징, 상담, 챗봇서비스 사업 확장 

 

 

 

 

[특징주] 메타 새 SNS ‘스레드’ 열풍에 와이즈버즈·플레이디 연일 상한가

<출처 : 조선비즈, https://v.daum.net/v/20230710093446203 >

* 와이즈버즈, 플레이디 2일 연속 나란히 상한가

 - 새로운 SNS 스레드 가입자 몰리는 것으로 풀이 (틱톡, 인스타그램과 비교해도 놀라울 만한 수준)

 - 7월 5일 오후에 스레드 출시

* 와이즈버즈

 - 페이스북이나 구글 같은 RTB(REAL TIME BIDDING) 매체를 기반으로 온라인 광고 대행 프로그램 개발

* 플레이디 

 - 페이스북을 고객사로 보유한 데이터 분석 기반 마케팅 서비스 제공기업

 

 

 

[특징주] 인크로스, 스레드 흥행 돌풍 가입자 1억명 육박… 파트너십 부각

<출처 : 머니S, https://v.daum.net/v/20230710092413809 >

* 스레드는 인스타그램계정과 자동으로 연결 로그인(소셜 로그인) 구현해 편리

* 인크로스

 - 메타가 주최한 '파트너 어워즈'에서 '이노베이션 히어로'부문 수상기업으로 선정돼

 - 한국관광공사의 페이스북 동영상 광고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이끈 공로

 - 퍼포먼스 마케팅 강화로 SNS는 확장될 것

 - 메타와 지속적 파트너십을 유지하는 인크로스에겐 중장기적 기회/호재

 

 

 

[분수대] 스레드와 트위터

<출처 : 중앙일보, https://v.daum.net/v/20230710003835592 >

* 스레드의 핵심 기능은 "트위터" 최대 단점인 "단문에서 단문으로 이어지는 소통" 극복

 - 싸우거나 농담할 땐 "트위터" 최고

 - 이견을 좁히는 데엔 장문을 필요로하는데 "스레드"가 제격

 

 

 

http://mrlee.co.kr/pc/view/ecopol/313

 

[미스털이] 1. 트위터 단점(일론머스크, 단문소통)을 없앤 "스레드", 2. 특징주 : 인포뱅크, 와이즈

스레드, 출시 나흘 만에 가입자 1억 명…트위터 뛰어넘을까<출처 : 한국경제, https://v.daum.net/v/20230710085303693 >* 지난 5일 출시 후 나흘 만에 1억명* 생성형AI 열풍 몰고온 챗GPT도 2개월 걸려* `

mrl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