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ACCESS는 왠만한 데이터를 모두 호환가능한 것 같다.
그래서 오늘은 외부데이터 중 텍스트를 어떻게 가져오는지 살펴봤다.
![](https://blog.kakaocdn.net/dn/cuy6Mp/btsASorGzpk/FiPkfzSt4KmTHBsA8eu59k/img.png)
원본파일이다. 다음과 같이 쉼표(,)로 열 구분을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VKnDs/btsASvEduum/KLnufYHZmdMOsdWc3tXxe1/img.png)
[외부데이터] -> [텍스트파일] 선택
![](https://blog.kakaocdn.net/dn/ba7y3I/btsASaUCS1M/vQk32LeS93VYtE60JEpfg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7h74/btsATCJvBfO/bI5bz0UqIVW7Z7V1mhlM7K/img.png)
처음 나타난 글자가 한글인데 깨지는 경우가 있는 거 같다.
그럴 때엔 고급 옵션 선택
![](https://blog.kakaocdn.net/dn/dnblQC/btsATB4V9zK/1QRoNAT12PS95k2k2v2Pk1/img.png)
코드 페이지를 "유니코드UTF-8"을 선택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adO3l/btsAUmGkZNN/XmemSORHxtA3jL4SDPbHR0/img.png)
참고로 TXT의 코드 페이지 값을 확인하고 싶으면 저장 화면에서 "인코딩"항목 값을 보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Jzspr/btsASJbj95b/fU1zilPA8zcVoS6cOIxi0k/img.png)
그럼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변경돼 조회된다.
(※ 이 단계에선 물론 가져온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다.)
![](https://blog.kakaocdn.net/dn/dBkV08/btsAUHXSMbZ/IvkoA1aGIIgzEOglaGt5x0/img.png)
참고로 첫 행에 필드 이름 포함이란 옵션도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8UJq0/btsAThMoMKk/i80c0M0cb9NFZGPwBX3WDK/img.png)
기본키 선택해주는 옵션도 있으니 참고하자.
=========================
만약, 가져온 데이터를 수정했을 경우엔 기존 텍스트(원본 데이터)에도 영향이 있는지 테스트해보자.
![](https://blog.kakaocdn.net/dn/09s98/btsATePHuGA/lhTRPj9ckkuIX2qOvMrKkK/img.png)
다음과 같이 1번째 행, 항목 3의 값을 고쳤는데
![](https://blog.kakaocdn.net/dn/bd3zaE/btsATjcdu9G/Zuo29dZf3sWI4aCSYoo0kK/img.png)
고쳐지지 않았다.
그런데 외부데이터(텍스트)를 연결테이블 옵션으로 가져오면 텍스트 내용이 변경된다.
![](https://blog.kakaocdn.net/dn/wyNId/btsASVCHnJX/9h17tFKE33wckdMRnGUsyk/img.png)
연결 테이블을 만들어 데이터 원본에 연결 옵션을 선택하게 되면
변경/삭제는 불가능하지만
새 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P2OMn/btsAUpXkzsJ/YNuhcD5DGEwaCzwPMHgySk/img.png)
그리고 텍스트 연결 마법사를 마치게 되면 다음과 같은 경고창이 뜬다.
![](https://blog.kakaocdn.net/dn/kAOfV/btsASTZbOZl/DczRYCEAHYhcGcJ659xKR1/img.png)
"연결 테이블" 아이콘은 기존의 "로컬테이블"과 다르다.
![](https://blog.kakaocdn.net/dn/kVfG8/btsASqQzoP2/PWKfsAVUetTON2Y3oF6g20/img.png)
ACCESS가 실행되는 동안 (심지어 로컬테이블로 변경을 시킨 후에도) 원본 데이터 액세스가 불가능하다.
ACCESS에서 새 레코드를 추가하고 ACCESS프로그램을 종료하자
![](https://blog.kakaocdn.net/dn/bTt8zV/btsASvqLpBe/apxa8E6J8c21robIMkrSu0/img.png)
다음과 같이 원본 데이터가 새로운 레코드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
![](https://blog.kakaocdn.net/dn/b0e5S0/btsARUdnsPw/XYIGFZzD59SyfAL7jWSxe0/img.png)
① 텍스트 파일을 가져와 기존 테이블의 레코드로 추가하 려는 경우 기본 키에 해당하는 필드의 값들이 고유한 값이 되도록 데이터를 수정하며 가져올 수 있다.
=> 수정을 하며 데이터를 갖고 올 수 없다.
② Excel 워크시트에서 정의된 이름의 영역을 Access의 새 테이블이나 기존 테이블에 데이터 복사본으로 만들 수있다.
③ Access에서는 한 테이블에 256개 이상의 필드를 지원 하지 않으므로 원본 데이터는 열의 개수가 255개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256개 이상의 필드를 지원 하지 않는다는 점을 숙지하자.
④ Excel 파일을 가져오는 경우 한 번에 하나의 워크시트 만 가져올 수 있으므로 여러 워크시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려면 각 워크시트에 대해 가져오기 명령을 반복 해야 한다.
'컴퓨터활용(컴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레드 시트_컴활 1급 실기] 데이터유효성 검사, 데이터 표(가상분석) (0) | 2023.11.26 |
---|---|
[스프레드시트] 컴활 1급 실기 풀이 (피벗테이블 보고서 작성) (2) | 2023.11.26 |
컴활 1급 실기 (VLOOKUP, 배열수식, 사용자정의함수) (2) | 2023.11.25 |
[스프레드 시트] LARGE, OR, AND, LEFT 함수와 인쇄 가운데 맞춤, 머리글 편집 해보자. (1) | 2023.11.24 |
[데이터베이스] 특정파일 암호설정 방법 (0)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