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테리,역사

희토류를 캐면 주변환경이 급격히 악화되는 이유 (중국 제외한 나라에서 희토류 안캐는 이유)

미스털이 사용자 2023. 4. 25. 15:01
반응형

중국의 희토류 매장량이 37%인데 반해,

중국의 희토류 생산량이 90%입니다.

 

이는 다른나라에서도 중국 만큼 (혹은 보다 많이) 생산해낼 수 있다는 얘기인데, 왜 중국에서만 거의 생산되는 걸까요?

 

 

-------------------------------------------------------

 

<※ 브금과 같이 보면 더욱 재밌습니다.>

 

아까 올라온 글에서 미국 희토류 생산을 환경단체에서 반대한다니

한 네티즌 왈

 




 

이라는데, 실제로 희토류 채굴은 주변환경 씹창내버리는걸로 악명이 높다.

 

희토류 채굴이 왜 주변환경을 망가뜨리냐면

 

1. 정제과정의 어려움으로 인한 다량의 오폐수 발생

 

이는 희토류 특유의 추출이 어렵다는 점에서 기인하는 문제이다. 희토류는 스칸듐, 이트륨, 그리고 14개의 란타넘족 원소들로 구성되는데, 이 16개 원소의 특성이 매우 비슷하며, 각각 분리해내기가 매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희토류 정제과정에서 엄청나게 많은 유독성 가스와 오폐수들이 배출된다

 

 

2. 방사성 

 

주기율표를 보면 란타넘족 바로 아래에 방사성을 띄는 악티늄족이 있다. 주기율표 위치상 위아래에 있으면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는 원리에 의해, 란타넘족과 악티늄족은 화학적 성질이 매우 비슷하며, 희토류 광맥에는 항상 악티늄족, 특히 토륨과 우라늄이 같이 섞여있다. 토륨과 우라늄은 자연상에서 다량으로 발견되는 원소 중 가장 방사능이 강한 원소들이며, 때문에 희토류 채굴 및 정제에는 방사능 오염이 뒤따르게 된다

 

 

결과물: 




http://mrlee.co.kr/pc/view/mystery/532

 

[미스털이] 매장된 희토류를 선뜻 생산해내지 못하는 이유 (무서운 희토류)

중국의 희토류 매장량이 37%인데 반해,중국의 희토류 생산량이 90%입니다.이는 다른나라에서도 중국 만큼 (혹은 보다 많이) 생산해낼 수 있다는 얘기인데, 왜 중국에서만 거의 생산되는 걸까요?---

mrlee.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