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 일본이 해군펌핑 하는 와중에 한국이 그나마 비빌 건덕지는 조선업 인프라말곤 없음
중국도 조선 인프라 좆되서 값싸게 찍어내는데 가랑이 찢어질 시도라도 할려면 민간조선 인프라로 후판 등 기자재 가격 안정화시켜야함, 안그래도 돈 없는데 단순현질로 커버하긴 빡셈
특히 중국은 구조상 조선소 민간부문이 성장하면 군사부문도 함께 성장함. 어떤 놈은 당연한 소리라고 할거고 어떤 놈은 뭔 개소리냐고 할건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89689#home
" 미 해군연구소에 따르면 중국 조선소는 민간 부문에서 벌어 들인 수익의 상당 부분을 군사 부문에 전용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비용을 생각하지 않고 군함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는 겁니다. 시진핑 정부가 지향하는 ‘군·민 융합’의 진짜 모습인 셈입니다. "
얘네는 어차피 모든 기업이 사실상 관치인지라 이딴 개지랄도 가능해서 그럼
한국 조선업 파이가 중국에 넘어간단 소리는 중국 해군이 증강된다는 것과 같음
당신들이 넘긴 조선업 파이가 나중에 군함으로 만들어져 한국으로 날아오는데도 넘겨줄거야? < 진짜임
2. 모든 제조업들은 자동화, 로봇화 각을 슬슬 재고 있음
실패사례긴 하지만 아디다스가 유럽에 자동화 로봇공장 시도한 게 그 예시고 조선업도 3-40년되면 근로자에게 로봇을 입히든 아예 일정 공정은 통째로 로봇화하든 해서 인건비 절감 들어갈거임
사실 현중, 핀칸티에리같은 업계 선두업체들은 용접로봇을 이미 목전에 두고 있는 상태임ㅇㅇ 지금 단계에선 극히 일부 밖에 대체를 못하지만 10년 후, 20년 후는 또 다르지
https://pemamek.com/us/customer-stories/fincantieri-awarded-pemamek-a-welding-automation-contract/
이건 하나의 사례고 꼭 로봇에 의한 자동화가 아니더라도 디지털 트윈같이 제조업 분야에서 기술혁신의 비중을 키울 방향성은 다양하기 때문에 앞으론 인건비 원툴 산업이 아니라 고도의 첨단 기술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 될 가능성이 농후함
3. 조선소 하나만 보면 경제성이 별로더라도 국가경제 단위로 해체하면 생각보다 괜찮은 산업임
한국 대기업, 특히 현대자동차가 이정도로 클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가 타 자동차 업체들이 외주로 돌리던 온갖 원자재, 기자재 산업을 수직계열화로 돌렸기 때문임
덕분에 코로나 공급망 위기 당시에도 (반도체 역량이 큰 한국에 베이스를 뒀다는 점도 주효했지만) 현기가 다른 업체들보다 충격이 덜해서 2강, 3강을 논하는 위치에까지 올라왔고ㅇㅇ
조선업도 비슷함, 단일 업체가 행하지 않을 뿐 한국 경제에서 수직계열화의 일축을 맡는 산업임
포스코-조선3사-HMM/SM으로 이어지고 순환되는 고리가 한국 중공업을 떠받치는 기둥 중 하나임
한국 철강 생산량이 미러랑 비견될 정도인데 이게 어떻게 가능하냐? 결국 자동차와 조선업이 어마어마한 양의 철강을 소화시켜줘서 가능한거임
특히 조선업은 한국이 전세계 물량 1/3을 집어삼키고 있으니 영향력 알만하지?
한국 조선소 문닫으면 포스코부터 감산 들어가야함.
왜? 한국 조선물량 가져갈 나라는 중국말고 없는데 중국은 철강 생산량에서도 세계 1위거든. 지들이 아득바득 개발을 하면 했지 물량을 포스코에서 조달할 이유가 하등 없음, 해봤자 아직까지 지들이 못뽑는 고급강재나 일부 사가겠지
철강은 결국 규모의 경제인데 그걸 감산하면? 가격경쟁력 떡락하고 발전한 철강산업과 연관된 다른 산업들도 도미노처럼 주르륵 영향받음
한국정부가 대우조선소에 돈을 쏟아부으면서 왜 굳이 살려놨느냐? 그거 안살려서 생길 충격 막는데 쓸 돈보다 억지로라도 살려두는데 쓰는 돈이 훨씬 적거든
사실 이건 이렇게까지 길게 설명할 필요도 없고, 그냥 짤 몇가지만으로도 설명이 가능한 부분인데
딱 보이지?
포스코 주가엔 선반영도 있고 정치적 원인도 있고 하다지만 결국 큰 틀은 조선업계 업황으로 대표되는 세계 사이클 따라감
굳이 따지면 사이클의 영향이 훨씬 크긴하지만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400001855
위 자료에 따르면 차공정용(간단히 말해 철강 생산 사이클 내에서 소비되는 자재) 수요를 제외할 시 2010년 기준 국내 철강 수요의 11.7%가 조선업임. 이는 자동차(8.4%)보다 높고 건설(12.8%)과는 대등한 수준이며
https://file.mk.co.kr/meet/2020/09/pdf_readtop_2020_900176_1598934730.pdf
"국내 철강산업은 자동차·조선·건설 등 전방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18년
기준 3개 산업에 대한 철강재 출하 비중 : 78.0%)"
18년도 기준, 조선 등 3개 산업에 대한 철강재 출하 비중이 80%에 육박하니
조선업 나락가면 국내 철강업체들도 상당한 타격을 받는다는거임
http://mrlee.co.kr/pc/view/ecopol/287
[미스털이] 우리나라의 조선업이 엄청 중요한 이유
1. 중국, 일본이 해군펌핑 하는 와중에 한국이 그나마 비빌 건덕지는 조선업 인프라말곤 없음중국도 조선 인프라 좆되서 값싸게 찍어내는데 가랑이 찢어질 시도라도 할려면 민간조선 인프라로
mrlee.co.kr
'정치,경제,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마이크론 저격, 韓 반도체 악재와 호재 어디쯤 [아카이브] 外 (경제뉴스들) (0) | 2023.05.25 |
---|---|
바이오, 제2의 반도체로…추경호 "육성계획 조만간 발표" 外 (경제 뉴스들) (0) | 2023.05.24 |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막아버린 미국 (한숨돌린 한국) (2) | 2023.05.21 |
1 . 연체율 급상승, 피할 수 없는 공포의 시작 [마켓톡톡] 2. 불법 주식 리딩방 판치는데…금감원, 쉽게 손 못 대는 이유 外 (경제 뉴스들) (0) | 2023.05.17 |
SK에코플랜트, 6조원 규모 그린수소 상용화사업 참여한다 外 (경제 뉴스들) (0) | 2023.05.17 |